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52b474939d9b93ff2f2806ad581fd322f2f7b196" /> 시간선택제 공무원이란?
본문 바로가기
교육

시간선택제 공무원이란?

by 한세상 2025. 1. 3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통상적인 공무원이 근무하는 근무시간(주 40시간 / 일 8시간) 보다 짧게 근무하는 시간선택제 공무원의 유형과 연혁 그리고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시간선택제 공무원 유형

시간선택제 공무원 유형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일반 공무원의 통상적인 근무시간(주 40시간 / 일 8시간) 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을 말합니다. 위 그림을 보면 시간선택제 공무원의 3가지 유형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간선택제 임기제 공무원은 일반과 전문 임기제로 나누어집니다.

 

 

2. 연혁

  • 시간제공무원제도 도입근거 마련(02년 국가공무원법 개정)
  • 육아휴직대상자에 부분근무 공무원제도 도입(05년 국가공무원법 개정)
  • 시간제 근무 가능직종을 전체 공무원으로 확대(07년도 공무원임용령 개정)
  • 시간선택제 일반직 공무원 신규채용 제도 마련(13년 공무원임용령 개정)

 

3. 주요 내용

 

01.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전일제공무원의 시간선택제 전환)

통상적인 근무시간(주 40시간, 일 8시간) 동안 근무하던 공무원이 본인의 필요에 따라 시간선택제 근무를 신청하여 근무하는 제도를 말합니다.(05년부터 시행 중)

  • 적용범위 : 일반직(임기제 포함), 별정직공무원은 시간선택제 근무 신청 가능합니다.
  • 근무시간 : 1일 최소 3시간 이상, 주당 15~35시간 근무
  • 근무형태 : 격일제 가능하나 격주제 및 격월제 불가
  • 대체인력 : 시간선택제 근무로 전환 시 그 남은 근무시간 범위 내에서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또는 한시임기제공무원 채용 가능합니다.

02.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시간선택제 일반직공무원 채용)

능력과 근무의욕이 있으나 종일 근무는 곤란한 인재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로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면서 정년이 보장이 되는 공무원을 말합니다.(14년부터 채용)

  • 근무시간 :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가 15~35시간 범위에서 지정합니다.
  • 근무유형 : 주 5일 근무(오전 오후)및 격일제 가능합니다.
  • 승진 : 승진소요최저연수는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인정합니다.
  • 보수 : 원칙적으로 근무시간 비례, 복리후생적 수당은 전일제와 동일합니다.
  • 연금 : 공무원연금 가입
  • 겸직 : 영리 업무가 원칙상으로 금지되나, 기관장 허가 시 겸직이 가능합니다.
  • 전일제 전환 : 경쟁에 따른 신규채용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03.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

전문지식, 기술이 요구되는 업무 및 한시적인 사업 수행 또는 시간선택제 전환자의 업무대체 등을 위해 일시적으로 채용되어 시간선택제로 근무하는 공무원을 말합니다. ※임용분야는 공무원 임용규칙 제101조 참고하세요~

  • 근무시간 : 1일 최소 3시간 이상, 주당 15~35시간 근무
  • 종류 : 시간선택제일반임기제 공무원과 시간선택제전문임기제 공무원이 있습니다.
  • 일반임기제공무원 : 직제 등 법령에 규정된 경력직공무원의 정원에 해당하는 직위에 임용되는 임기제공무원
  • 전문임기제공무원 :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등이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용되는 임기제공무원

 

자~오늘은 통상적인 공무원이 근무하는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선택제 공무원의 유형과 연혁 그리고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